본문 바로가기
Trend

새로운 세대의 등장!! - 알파세대가 온다!! 설명 (2023트렌드)

by Trend 파고 2023. 6. 23.
반응형

알파세대가 온다 ( Alpha Generation )


유일한 사람이라는 정체성  '알파세대'

 

        '알파세대'

  • 2010년 이후 출생
  • 진정한 '디지털 원주민'
  • 세상에서 유일한 사람

 


 

 

 

z세대 이후 새로운 세대의 등장 '알파세대'

알파세대는 2010년 이후 출생한 사람들을 말합니다.

(아이패드와 인스타그램도 2010년에 출시했습니다.)

 

영국에서 생후 18개월 된 아이가 아빠, 엄마가 아닌 처음으로 한 말이 '알렉사'라는 아마존의 인공지능 이름이었습니다.

이는 현 세상의 변화를 가장 잘 보여주는 사례라고 합니다.

 

알파세대는 태어나면서 스마트폰 같은 디지털기기를 접한 세대입니다. 지금의 부모세대보다 디지털기기 사용능력이 우수할 수 있습니다.

 

지금의 MZ세대는 자라는 과정에서 스마트기기를 접했다면 알파세대는 다르다. 태어날 때부터 스마트기기를 접했습니다.

이들은 아날로그 방식을 접해본 경험이 없다는 게 핵심입니다.

 

이들은 어떤 세대보다 부유하고 고학력이며, 기술적으로 집약된 세대라고 합니다.

 

'디지털 원주민' 알파세대

알파세대는 태어날 때부터 스마트기기를 접한 세대입니다. 그 어떤 세대보다 스마트기기의 생활이 익숙하다고 합니다.

 

알파세대는 디지털기기 사용에 대한 거부감이 없습니다. 메타버스, AI와 친숙합니다. 

SNS콘텐츠를 직접 제작하기도 하고 공유하기도 합니다.

2020년 자료를 보겠습니다.

숏폼 플랫폼인 '틱톡'의 연령별 분포는 다른 나이대 보다 10대의 나이대가 가장 많습니다. 

보시다시피 지금의 알파세대는 디지털기기에 대한 거부감이 없습니다.

 


알파세대의 경제

지금의 밀레니얼 세대의 자녀인 알파세대는 부모의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1980년 ~ 1994년 생의 밀레니얼 세대는 2008년 금융 위기를 겪으면서 사회초년생 때 일자리에 대한 걱정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밀레니얼 세대의 부모는 알파세대의 자녀에게 경제 교육을 시킨다고 합니다.

 

알파세대는 어린 나이에 경제의 중요성을 깨닫습니다.

 

이러한 교육으로 인해 현제 미성년자 주식계좌 개설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요즘은 국, 영, 수, 코 (코딩)으로 알파세대는 자기 주도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모습이 보입니다. 놀이와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져 있습니다.

 


 

 

우리의 소비자 '알파세대'

알파세대는 기존의 Z세대보다 약 40% 용돈을 더 받는다고 합니다.

초기 저출산문제에 태어난 아이들은 집안의 어른들이 많이 아껴 용돈을 많이 받았다고 합니다.

이들은 어린 나이에도 다양한 가치관과 소비력을 보이고 있습니다. 

 

알파세대는 저마다의 매력을 중요시합니다.

 

'나는 나대로 너는 너대로' 세상에서 자신이 유일한 사람이라는 정체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제일 중요한 것은 나'라는 자기중심적 성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알파세대의 소비를 이끌려면 무엇이 필요할까요?

 

알파세대를 중심으로 한 소비시장은 점차 늘어갈 것입니다.

 

알파세대를 잘 파악하고 주목해야 합니다.

 


 

 

알파세대 괜찮을까?

지금의 알파세대는 오프라인의 활동이 익숙하지 않습니다. 이번에도 역시 코로나 19의 영향이 있습니다.

 

대면으로 교육을 하지 않아 아직 한국어 발음이 서툰 아이들도 많습니다.

 

어릴 때부터 SNS를 통해 비교하는 삶을 살아오던 알파세대는 OECD국가 22개국 중 행복지수는 최하위라고 합니다.

 

아이들을 키우는 양육과정을 과하게 공유하는 과정에서 알파세대의 아이들은 점차 불행해져 갔을 수 있습니다.


SNS로 많은 것을 접할 수 있는 '알파세대'를 지켜줍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