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rend

시간은 스펙이다

by Trend 파고 2023. 7. 20.
반응형

안녕하세요.

'시간은 스펙이다'라는 주제를 가지고 한번 나누어 보려고 합니다.

여러분들의 시간은 잘 쓰이고 있나요?

사람들에게 공평하게 24시간이 주어집니다.

그 안에서 사람들의 삶에 따라 인생이 변하겠죠.

그럼 우리는 조금이라도 일찍 시작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요?


 - 시간은 스펙이다    

사람들에게는 똑같은 24시간이 주어집니다. 하지만 쓰고 있는 시간의 비율은 사람마다 다르죠. 똑같은 사람은 찾을 수 도 없을 겁니다.

저는 하루에 휴대폰을 8시간 이상 쓰는 사람입니다. 24시간 중 자는 시간 8시간을 제외하고 16시간 그중 절반을 휴대폰을 켜놓고 생활하고 있죠. 정말 긴 시간입니다. 물론 저의 재미만을 위해 쓰고 있지는 않습니다. 결과론 적으로 보았을 땐 시간이 정말 아깝다는 생각을 했죠.

혹시 여러분들은 '꾸준함'을 증명할 수 있습니까?

저는 자신을 소개할 때 '꾸준한 사람'이라고 설명한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꾸준함'이라는 추상적인 표현이 이렇게 증명하기 어려운 단어인지 처음 알았습니다. 증명하지 못한다면 아마 듣는 사람들은 흘려들을 겁니다. 저는 계속 영양가 없는 소리를 앞에서 했던 것이죠. 

'꾸준함'이라 하는 것은 '시간'을 꼭 써야 할 수 있는 단어입니다. 쓰는 시간이 길면 길 수록 듣는 사람들은 납득을 하게 되죠. 일찍 일을 시작하는 것이 좋다는 소리입니다.

고민할 시간조차 우리에게 주어지지 않습니다.

'충분히 고민해 봐라'이 말은 단지 그냥 멍청하게 생각만 하고 있으라는 소리가 아닙니다. 시간은 기다려주지 않으니까요. 제가 글을 쓰고 있는 지금도 시간은 흐르고 이 글을 읽고 있는 여러분들의 시간도 흐릅니다. 작은 것이라도 시작하고 찾아봐야 합니다.


 '시간이 없다'라는 말을 달고 살고 있습니다. 핑계죠.

시간은 쪼개서 쓰는 것입니다. 그 사이에서 발전하는 모습을 보고 '꾸준함'이라는 것을 증명할 수 있죠. 제가 그래서 '시간은 스펙이다'라는 말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일찍 시작해 능력치를 쌓고 다른 것을 도전할 때 '꾸준함'이라는 스펙이 생기는 것입니다. 

사람들마다 노력하는 양은 다릅니다. 시간도 그만큼 분배해서 쓰겠죠. 물론 가지고 있는 뇌의 총량, 지식수준 등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불공평하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생각을 바꿔 그 사람들이 시간을 쓴 만큼 지금제가 시간을 소비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시간은 우리를 기다려주지 않습니다.

엄청 유명한 말입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당장의 내일의 나와의 차이점을 느낄 수 없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렇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미래를 그리지 못합니다. 자신이 하는 일이 변화하기 위해선 많은 시간이 흐르고 이루어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당장의 내일이 똑같다고 몇 년 뒤의 내일이 똑같지는 않습니다.


오늘 여러분들의 소중한 시간을 저에게 써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몇 초라도 이 글에 투자했다면

다음에는 몇 분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