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rend

나이를 먹지 않는 사람들 - 네버랜드를 알아보자 (2023트렌드)

by Trend 파고 2023. 6. 29.
반응형

네버랜드 ( Peter Pan and the Neverland Syndrome )


나이를 먹지 않는 이들 

  • Return, 어린 시절로 돌아가다
  • Stay, 나이 듦을 거부하다
  • Play, 아이처럼 재미있게 놀다 

 


 

네버랜드 

'네버랜드' 저희에게 참 익숙한 말이죠?

 

'네버랜드'는 애니메이션 '피터팬'에 등장하는 장소입니다. 아이들이 나이를 먹지 않고 살아가는 곳입니다.

 

그럼 '피터팬'에 등장하는 '네버랜드'는 왜? 트렌드가 되었을까요? 

 

정확히는 '네버랜드 신드롬'입니다.

 

언젠가는 놓아주어야 하는 것이 젊음입니다. 하지만 젊게 못 노는 것은 아니죠.

 

최근에 나이보다 어리게 사는 것을 원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누구나 젊게 보이고 싶어 한다고 합니다. 이들이 어린 시절 때를 생각하며 젊게 놀고 싶어 하는 것이죠.

이들은 명량하고 재미있는 생활을 꿈꿉니다.

 


 

사회적 관점

'어른은 어른다워야 한다'

 

들어보셨나요? 저희의 세상에서 늘 존재했던 말이었습니다. 하지만 요즘의 사회적 관점은 달라졌습니다.

 

과거에는 성숙한 어른의 모습이 당연했다면 지금은 나이보다 젊게 사는 것을 부러워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처럼 '네버랜드 신드롬'은 개인의 취향이 아닌 사회 전체의 트렌드가 되고 있습니다.

 


 

네버랜드 신드롬의 단계

무조건 어리게 노는 것만이 '네버랜드'는 아니겠죠?

 

사람들은 젊게 노는 것에도 원하는 바가 달랐습니다.

 

어린 시절로 돌아가고 싶어 하는 '돌아감'

 

더 이상 나이가 들고 싶지 않은 '머무름'

 

아이처럼 놀고 싶어 하는'놂'

 

이처럼 젊어지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자연스럽게 과거의 물건들이 재조명되고 있습니다.

 

 


 

왜 '신드롬'이 일어났을까?

그럼 단순히 젊게 살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증가해서 '신드롬'이 일어났을까요?

 

'네버랜드 신드롬'이 일어난 이유에는 인간의 수명이 연장된 것과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수명이 늘어나면서 놀 수 있는 나이가 증가한 것이죠. '청춘' 단어만 보아도 활기차지 않나요?

 

다음으로는 생애 과정이 다양해지면서 어른의 기준이 사라졌다고 합니다. 현제 사회에서 사회적 나이의 의미가 희미해지고 있다는 겁니다.

 


 

 '네버랜드 신드롬' 장단점

나이의 의미가 희미해지면서 세대 간의 고정관념이 사라지고 있습니다. 이는 매우 긍정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른스럽다'라는 의미도 희미해지고 있습니다. 즉 사회의 전체가 미성숙해질 수 있습니다.

 

'네버랜드 신드롬'은 자신이 원해서 젊게 사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기중심적 주장을 강요하는 분위기가 될 수 있다고 합니다.

 

불안정한 현실 속에서 '네버랜드 신드롬'은 위안을 준다고 합니다. 너무 과거에 빠지면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젊음은 놓아주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