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제적 대응기술 ( Unveiling Proactive Technology )
요구하기 전에 필요한 것을 찾기
- 정보 제공
- 맞춤 조정
- 예측 수행
선제적 대응기술
'선제적 대응기술' 무슨 기술일까요?
쉽게 말하면 요구하기 전에 미리 제안하는 기술이라고 합니다. 사람들에게 필요한 것을 스스로 파악해 미리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사람들은 편리함을 느끼겠죠?
궁극적으로 고객이 필요를 깨닫기도 전에 서비스를 제공해 불편을 해소하는 기술을 '선제적 대응기술'이라고 합니다.
선제적 대응기술이 소비자와 상호작용을 할 때의 단계가 있다고 합니다.
정보제공
선제적 대응을 위해 고객에게 정보를 제공한다고 합니다.
고객의 맥락을 읽을 수 있는 기술이 제품에 적용되어 있다면, 분석한 결과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집에 사람이 들어오면 센서를 통해 자동으로 불이 켜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정보제공의 핵심은 상황에 맞춘 정보가 적시에 전달된다는 것입니다.
맞춤 조정
사용자에게 맞춘다는 뜻입니다. 사용자에게 맞춰진 기능이 자동으로 변화하고 구현된다고 합니다.
사용자가미리 정해놓은 매뉴얼대로 동작이 시행되는 기술입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장기간 집을 비우는 일이 발생하면 맞춤 조정 기술로 인해 조명을 켜거나 끄는 것을 예로들 수 있습니다.
예측 수행
마지막 단계는 예측 수행입니다.
사용자의 필요를 예측한다고 합니다. 가장 설명하기 쉬운 것이 '자율주행분야'라고 합니다.
자동차에 탑재된 각종 센서를 통해 운전자의 심박, 호흡을 체크합니다. 그 후 운전자가 졸음운전의 가능성이 있을 때 실내환기를 유도하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등 예측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소비자의 만족
소비자는 '선제적 대응기술'을 알아차리면 안 됩니다. 말이 이상하죠?
소비자는 자신이 서비스를 받고 있는지 몰라야 한다는 소리입니다. 즉 기술이 존재하는지 몰라야 합니다. 왜냐하면 불편함을 느끼지 못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미리 소비자의 모든 것을 파악하고 맞추고 예측하는 것을 통해 맞는 타이밍에 선제적인 대응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미 우리 생활에 있는 기술입니다.
'Tre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옷에 설렘을 넣다 - 그러데이션 컬러 트렌드 '석양' (24) | 2023.07.03 |
---|---|
( 3번의 결혼과 이혼을 경험한 편승협의 이야기 ) '금쪽삼담소' 88회 (18) | 2023.07.02 |
사람을 모으고 머물게 하는 힘 - '공간력' 설명 (2023트렌드) (18) | 2023.06.30 |
JTBC '기적의 형제' 무슨 드라마일까? - 줄거리 ( '판타지' ) (16) | 2023.06.29 |
나이를 먹지 않는 사람들 - 네버랜드를 알아보자 (2023트렌드) (32) | 2023.06.29 |